(비씨엔뉴스24) 제주특별자치도는 21일 오후 국립세종도서관에서 기획재정부 주최 ‘2025년 지방재정협의회’에 참석해 내년도 도정 주요 핵심사업 5건·1,203억 8,000만 원 규모의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.
기획재정부는 매년 예산 편성에 앞서 지방자치단체와 재정 운영방향 및 지역 현안사업을 논의하는 지방재정협의회를 개최하고 있다.
제주도 진명기 행정부지사, 최명동 기획조정실장 등은 기획재정부 유병서 예산실장과 조용범 예산총괄심의관 등 예산담당 책임자들과 만나 내년도 5개 주요사업의 당위성과 지역 발전 효과를 상세히 설명했다.
이날 건의한 주요 사업은 ▲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744억 원 ▲2026년 전국(장애인) 체전 개최 214억 원 ▲제주 농업용수 통합 광역화사업 195억 원 ▲지역 거점형 콘텐츠기업 지원센터 구축 46억 6,000만 원 ▲제주 풍력기반 그린수소 생산기지 구축사업 4억 2,000만 원이다.
‘제주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’은 유입 하수량 증가와 시설 노후화로 인한 수질기준 초과,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이다. 하수처리시설 증설 및 완전 지하화와 상부 생태공원 조성이 핵심으로, 2026년에는 주요 설비와 시공이 집중되는 핵심 단계의 2단계 전처리시설 공사를 집중 추진할 계획이다.
‘2026년 전국(장애인)체전 개최 사업’은 제107회 전국체전 및 제47회 전국장애인체전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경기 운영 및 경기장 시설 확충 사업이다. 제주도는 타 지역 대비 높은 물류비와 물가 상승 등의 요인을 감안해 대회 운영비 및 대회 준비를 위한 시설비 예산 현실화가 필요한 상황이다. 이에 전국(장애인)체전 운영비 104억 원, 시설 건립 및 개보수 110억 원 등 총 214억 원의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.
진명기 행정부지사는 “관광객 감소, 부동산 및 건설경기 불황, 청년인구 유출, 물가 상승 등 여러 문제로 제주지역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”면서 “지역경제 활력을 위한 정책 추진이 시급한 상황인 만큼 제주 신청 예산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협조를 부탁한다”고 강조했다.
이번 회의에서 건의된 지역 현안사업들은 각 부처의 검토를 거쳐 5월 말 기획재정부로 제출되며, 6월부터 8월까지 기획재정부의 심사를 거치게 된다.
제주도는 기재부 심사과정에서 현안사업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총력 대응할 방침이다.